반응형 qqq4 JEPI ETF와 S&P500, 나스닥과의 상관관계. JEPI ETF가 S&P500 기업들과의 중복률은 높지만, TOP10을 보면 중복기업은 Exxon Mobil 빼고는 다르다. S&P500, 나스닥100은 TOP10 비중이 높지만, JEPI는 변동성이 없는 기업들이 고루 비중이 배분되어 있다. JEPI를 투자하면 기업의 중복률이 높아, S&P500을 투자하는 거 아냐?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막상 기업들의 비중이 매우 다르고, JEPI는 변동성이 적은 기업을 보수적으로 골고루 투자했기 때문에 두 ETF를 중복해서 투자해도 무리가 없어보인다. 단, 변동성을 견디면서 장기 투자한다면, S&P500이나 나스닥에 100% 투자하는 게 시세차익에 유리할 것이다. 하지만 2022년과 같이 주식이 폭락했던 해는 JEPI가 S&P500, 나스닥의 수익률을 이겼다. 결.. 2023. 2. 13. 미국주식 포트폴리오 변경하기 (SCHD, O, QQQ, TSLA, SMH) 왜 미국 주식인가? 회사 연봉을 시뮬레이션하고 상방이 막혀버리는 순간이 올 것이라는 자명한 사실에 어떻게든 대응을 해야 했다. '정년까지 다니세요'라고 말하면서 오로지 회사에 순응하고 살라는 다수의 말에 더 오기가 생겼다. 아래의 로버트 기요사키의 강의를 보고 지칠 때마다 보고 동기부여를 했다. 청약제도를 통해 34평 아파트 내 집 마련은 했지만, 아파트의 대출금을 갚아가나가야하고 '자신은 전세로 살고 여러 집을 임대하여 월세를 받는 그런 부자'의 삶은 아니었다. 하지만 타의적인 레버리지를 했고 입주 후 시세차익을 눈으로 직접 보니... '이것마저 없었다면 정말 암울했겠다'라고 안도하며, 자본으로 돈을 버는 것 또한 이런 방향성이겠구나 싶었다. 돈이 돈을 벌어오는 것! 부동산은 아무래도 기본적인 투자금의.. 2022. 12. 13. 미국 S&P500 ETF와 함께 포트폴리오를 만들기 좋은 ETF 미국 S&P500 ETF 2022. 12. 12. [미국주식, 배당성장 ETF] SCHD ETF 배당재투자 시뮬레이션 배당성장 배당성장은 말 그대로 배당금이 성장한다는 뜻이다. 매년 기업이 성장하면서 주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고, 배당금도 매년 늘어나기 때문에 장기투자에 적합한 상품이다. 우리가 자주 마시고 잘 알고 있는 기업인 코카콜라(KO)는 58년 연속 배당금을 올려 주주들에게 지급했다. SCHD ETF 구성 및 특징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대표적인 배당성장 ETF로 SCHD ETF(Schwab U.S. Dividend Equity)를 들 수 있다. SCHD ETF의 구성은 시가총액 비중대로 100개의 배당주로 편성된다. SCHD는 10년간의 배당 이력만을 포함하여, 현금흐름 대 부채비율(cash-flow to debt ratio), ROE, 배당수익률(dividend yield), 배당 증가율(divide.. 2022. 11.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