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테크, 돈공부32

[부의 추월차선] 추월차선 부의 방정식과 실행 방법 생산자가 되는 것 인도와 서행 차선의 직업은 소비 행위를 위해 존재하지만, 추월차선에는 생산자만 존재한다. 이들은 인생의 중심을 소비가 아닌 생산에 둔다. 사고방식을 다수(소비자)의 것에서 소수(생산자)의 것으로 전환해야 한다. 먼저 생산자가 되고 그 다음에 소비자가 되어야 한다. 그럼 생산자의 사고방식은 무엇일까? 바로 소비자들이 사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소비자는 생산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누군가가 자기 욕구를 채워 주길 기다리는 다수의 사람들이다. 생산자 편에 서려면 사업가이자 혁신가가 되어야 한다. 사업을 시작하고 세상에 가치 있는 무언가를 제공해야 한다. 사업은 추월차선 부의 방정식(부=수익+자산가치)의 핵심이다. 왜냐하면 사업을 통해 무제한적이고 통제 가능한 부의 변수를 활용할 수 .. 2022. 11. 7.
[부의 추월차선 리뷰] 추월차선으로 갈아타야 하는 이유 부자가 되는 공식 부자를 만드는 것은 과정이며, 우리가 여러 매체에서 보고 들은 특별한 사건들은 과정의 결과일 뿐이다. 부자들을 보며 '우와, 나도 저 사람처럼 운이 좋았더라면'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그 사람들은 과정이 아닌 결과의 신기루만을 보고 있는 것이다. 부자가 되는 모든 사건의 이면에는 과정 즉, 도전과 위험, 노력과 희생의 비하인드 스토리가 존재한다. 과정을 건너뛰려고 하는 사람에게는 절대로 사건이 일어나지 않는다. 성공하려면 부를 향한 여정에 집중하고 목적지(사건)가 아닌 여정 자체(과정)를 위한 도구를 준비해야 한다. '부의 추월차선'의 책에서는 네 가지 도구를 소개한다. 1. 지도 : 지도는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인도한다. 세 가지 유형은 인도, 서행 차선, 추월차선으로 요약된다.. 2022. 11. 5.
자본주의의 원리와 이기는 법칙 현실 회사원 A는 내 집 마련이 목표였다. 악착같이 절약하여 돈을 모았다. 5년 뒤 A는 2억을 모았다. 자신이 자랑스러웠던 A는 금방 부자가 될 것 같았다. 그런데 그 자랑스러움은 잠시였다. 쓸 거 다 쓰고 여행 다니던 친구 B가 빚을 얻어 산 집이 1년 만에 2억 원이나 올랐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A는 그 친구와 비교하면서 회의감이 들기 시작했다. 이 사례는 요즘 주위에서 일어나고 있는 진짜 현실이다. 저축만으로 부자 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A가 자본주의 법칙을 알았다면 진작 적당한 빚을 얻어 집을 샀을 것이다. 회사원 A가 최고 임원까지 승진한다면 부자가 가능하겠지만 대부분의 직장인은 그럴 수 없기 때문에 절약과 저축에만 매달리게 되는데, 그렇게 해서는 부자가 되기 어렵다. 열심히 일하고 .. 2022. 11. 2.
경기침체에 대한 지표 - 장단기 금리차 확인법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높은 수준에 형성되는 이유 만기 1년짜리 채권 A, 만기 100년짜리 채권 B가 발행되었습니다. 여기서 채권 A와 채권 B는 모두 1년에 5원의 이자를 주는 100원짜리(원금도 100원) 채권입니다. 그런데 갑자기 국제유가가 급등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져 7월에 발행된 '만기 100년짜리 채권 C'의 이자율이 10%가 되었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이때 만기 100년짜리 채권은 원금이 거의 의미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매년 2~3%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것만으로도 채권의 실질적인 가치는 뚝뚝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몇십 년 전 100만 원의 월급은 가족의 생계를 유지하고 저축도 하는 큰돈이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기준으로 보면 최저인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돈입니다. 이것이 바로.. 2022. 10. 31.
반응형